Economic_Financial words

11/3 경제 스크랩

부산대보금자리 2021. 11. 3. 10:43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1/11/1040559/

 

증권가 "카카오뱅크 최대이익…건전성관리 주의보"(종합)

국내 증권사들이 3일 최대 규모의 이익을 낸 인터넷 은행 카카오뱅크[323410]에 대해 견조한 실적과 여신 성장세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대손 비용 증가 가능성을 제기하며 보수적인 분석을 내

www.mk.co.kr

 "수수료와 플랫폼 수익도 늘어 비이자이익 증가를 견인하겠으나 중금리 대출로 대손비용이 늘어나면서 연체율 등 건전성 관리가 방점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4분기가 금융 플랫폼 역량을 입증할 시험대가 될 것"이라며 "카카오뱅크 신용평가시스템(CSS)이 타사보다 나은 점이 입증되지 않으면 대손 비용률이 2023년까지 높아져 수익성에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1/11/1040328/

 

외국인 국내 부동산거래 올해 가장 많다…커지는 역차별 논란

1∼9월 순수토지·건축물거래 2006년 통계 집계 이래 최다 규제 청원·여론 봇물…통계조차 제대로 수집·공개 안 돼

www.mk.co.kr

집값 폭등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임직원들의 땅 투기 사태 영향으로 정부가 각종 부동산 규제를 쏟아내면서 내국인들의 부동산 거래가 급격히 위축된 사이 외국인들의 국내 부동산 거래는 여느 때보다 활발히 이뤄지고 있어 역차별 논란도 커지고 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을 보면 지난 7월 한 청원인은 "외국인들은 자금 조달 계획이나 자금의 출처에 대한 조사가 내국인들에 비해 투명하지 않다"며 "환치기 같은 불법적인 방법이 공공연하고 자신들이 투자한 방법을 공유하면서 우리나라의 부동산 시장에 교란을 일으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청원인은 지난달 올린 국민청원 글에서 "대출은 막고 집값은 올리고 서민들의 삶은 힘들어지는데 외국인의 매매율은 올라가고만 있다"며 "외국인의 부동산 구매를 막아달라"고 요구했다.

특히 외국인들의 국내 부동산 통계 현황조차 제대로 수집·공개되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부동산원은 토지와 건축물에 대해서만 외국인 거래 통계를 공개하고 있는데 이는 매도와 매수가 모두 포함된 거래량 수치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외국인들의 국내 부동산 매수와 매도 현황을 별도로 구분해 통계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며 "건축물과 순수토지 통계를 통해 외국인들의 국내 부동산 거래 현황만 대략 알 수 있다"고 전했다.

 

 "외국인들의 투기성 매입을 막지 못하면 내국인에 대한 규제의 역차별 논란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1/11/1040136/

 

"장 별거 안 봤는데 10만원"…체감물가 고공행진 언제까지

지난달 소비자물가 3%대 진입…장바구니 물가는 더 `껑충` 가파른 금리 상승에 이자부담 가중…"취약계층 지원 늘려야"

www.mk.co.kr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시중의 많은 유동성과 글로벌 공급망 불안으로 연초 식료품에 머물렀던 물가 상승이 전방위로 이뤄지고 있다"며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 등 외부 요인에 의한 물가 압력은 당분간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성 교수는 "이런 상황에서 물가를 자극할 수 있는 전 국민 지원보다는 소득이 낮은 계층을 선별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물가가 급등하면서 이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전망에 더욱 힘이 실리게 됐다.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이 맞물리면서 대출 수요자의 어려움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금리 변동 위험과 상환 부담을 덜 수 있는 대출상품의 비중을 높이고, 생계형 대출자에 대한 문턱을 낮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이달에 이어 내년 1분기 중에도 기준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크다"며 "당국이 가계대출 원금 분할 상환을 확대한다는데 단기가 아닌 20~30년짜리 고정금리 대출을 대폭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안 교수는 "소규모 자영업자가 폐업해 일시적 실업자 상태에 있을 때 소득은 없지만 자신의 주택을 담보로 대출받을 수 있도록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소득 대비 갚아야 할 원리금 비율) 규제 예외를 둘 필요가 있다"며 "취약계층에 대한 정책자금 대출도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1/11/1039315/

 

금통위원 6명 중 4명 "추가 금리인상 필요"

"가계부채 금융불균형 등으로 촉발된 금융안정 문제 해결 필요" 이주열 총재 포함시 사실상 7명 중 5명 인상 주장

www.mk.co.kr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1/11/1039235/

 

물가 공포에 국채금리 급등…정부, 채권시장 2조 긴급투입

국고채 3년물 금리 2.1% 3년3개월만에 최고치 기록 금리급등·서민피해 `악순환`

www.mk.co.kr

 

국채금리 급등은 결과적으로 대출금리에 영향을 줘 물가 상승으로 고통받는 서민에게 이중고를 줄 수 있다. 정부는 2조원 규모의 국채 긴급 매입(바이백)에 나서기로 하는 등 시장 안정 조치에 나섰다.

나라에 빌려주는 것이니 국채는 시장에서 안전자산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경기가 안 좋을 때는 안전한 국채를 찾는 수요가 많고 찾는 사람이 많으니 이자를 덜 줘도 되는 것이다. 경제가 좋지 않을 때 국채금리가 내려가는 건 이러한 배경이다.

반대로 국채금리가 오른다는 건 경제가 좋아질 기미가 보여서 돈이 국채 시장을 떠나 보다 수익성이 있는 곳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는 의미다. 국채금리 인상이 경기회복의 신호로 해석되는 이유다

https://world.kbs.co.kr/service/contents_view.htm?lang=k&menu_cate=business&board_seq=401204&page=0&board_code= 

 

미국 국채금리 상승 흐름과 한국경제 영향

ⓒ Getty Images Bank최근 미국 국채금리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작년 10월 초, 그러니까 6개월 전에 비해 엄청나게 올랐다는데 이러한 상승폭은 과거 20년 동안 몇 차례 없었을 정도라고 한다. 반대

world.kbs.co.kr

 

 

'Economic_Financial wor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5 경제 스크랩  (0) 2021.11.05
11/4 경제 스크랩  (0) 2021.11.04
11/2 경제 스크랩  (0) 2021.11.02
11/1 경제 스크랩  (0) 2021.11.01
10/29 경제 스크랩  (0) 2021.10.29